SPACE no.607
PRESS
2018
홍대 인근에 작업한 중소규모 상업시설을 모아 SPACE 2018년 6월 (607호) FRAME에 게제하였습니다.
We gathered small and medium sized commercial facilities working near Hongdae and added it to this space 607 frame.
건축사사무소 SAAI는 건축주의 의뢰를 받아 건물을 짓는 일반적인 건축사사무소와는 조금 다른 행보를 보여왔다. 어쩌다가게를 통해 그들은 `설계`가 단순히 물리적인 층위의 공간을 기획하는 층위가 아니라 사회, 경제적 요구에 따라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이에 맞는 건축적 해법을 제시하는 보다 넓은 작업일 수 있음을 증명했다. 이번 프레임에서 소개되는 와와빌딩 서교1동, 어쩌다가게@망원, 어쩌다가게@서교, 메종 키티버니포니는 서교동, 망원, 합정이라는 골목 중심의 상권지역을 기반으로 중소규모 상업시설의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들의 건축은 사람과 동네, 공유 공간에 대한 새로운 사회적 요구가 절묘하게 결합되면서 완성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인연 뜻밖의 가치들, 삶의 이야기들을 생산해내고 있다. 건강한 삶과 사회를 꿈꾸는 건축사사무소 SAAI의 작업들을 따라가보자.
진행 박세미 기자 | 비평 천의영 교수 | 디자인 김희정
The architects office SAAT has shown that it follows a different path to other architecture practices, those that simply build buildings according to the owner`s demands. In their Uhijuhdah Shops they have proven that `planning` is not limited to a matter of physical space, but that it can expand to the matter of planning and providing architectural solutions to a programme that is attuned to social and economic demands. The architecture presented in this issue - Wawa Building Seogyo-1, Uhjjuhdah Shops @Mangwon, Uhjjuhdah Shops @Seogyo, and Maison Kitty Bunny Pony - proposes a new commercial alternative in its small-to-middle sized commercial facility based upon a sensitivity to the commercial practices in and around the alleyways of Seogyo-dong, Mangwon, and Hapjeong. Their architecture becomes complete through a sense of the miraculous interrelation between the new social demands placed on people, neighbourhoods, and public spaces, and thereby producing new relationships, unforeseen values, and life stories. Let us delve into architects office SAAl`s works and admire their aspirations for a healthier life and society.
edited by Park Semi | critic by Chun Euiyoung | designed by Kim Heej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