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신중 예술체육실
EDU. CULTURE
2019
architect | 이진오, 박지용 |
---|---|
location | 서울시 은평구 증산로 15길 61 상신중학교 |
building use | 예술체육교실 |
total floor area | 396.31 ㎡ |
finishing | 수성페인트, 충격 흡수쿠션, 거울, 목재흡음천장재, 목재플로어링 |
design period | 2019. 05. ~ 2019. 09. |
construction period | 2019.11. ~ 2019. 12. |
tech collabo | 포커스엔지니어링, 성문이엔티 |
etc | 꿈을 담은 교실 사업 |
1985년에 개교한 상신중학교는 서울특별시 은평구 신사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이다. 2019년 현재 학생 수 410명(여학생 비중이 높음), 교직원 39명이 생활하며 2020년 서울형 혁신학교로 지정되었다. 교과 교실 위치의 변동이 다른 학교에 비해 많다. 북쪽을 바라보는 산 중턱에 위치 해 있다.
북향의 어두운 분위기, 낮은 층고의 대상 공간을 조금이나마 밝고 시원하게 만들고 싶었다. 학교 외벽에 아이돌에 관한 낙서가 많이 적혀 있는 것을 보고 연예기획사 연습실같이 블링블링한 공간을 생각했다. 학생 워크샵에서 약속한 이 부분을 지켜주지 못해 아쉽다. 건축가로서의 욕구 이전에 예산과 기간에 맞추어 여러 학교 구성원의 의견을 조율하고 합의한 사항을 기술적, 제도적으로 구현한 작업이다.
2006년 준공된 상신중학교 창조관은 바닥은 비닐계열 타일, 벽체는 강렬한 색감의 페인트 마감, 천장은 암면 텍스와 같은 전형적인 마감재로 이루어져 있다. 적극적인 공간 계획을 지양하고 필요에 의해 공간이 구획되면서 다양한 마감재를 통해 공간을 개선하고자 했다. 다양한 재료들이 충돌하는 키치적인 분위기를 의도했다. 바닥은 연습실에 사용되는 장선식 마루틀 위 단풍나무 플로어링을 적용했다. 벽체는 경량벽체에 페인트, 충격흡수 쿠션, 대형거울을 적용했다. 천장은 천장 설비가 가려져야 하는 부분과 천장 높이를 높일 수 있는 부분을 구분하여 마감을 적용했다. 보가 노출 되는 부분 안쪽으로 흡음타공판을 설치하고 소방배관이 가려지는 부분은 반사되는 천장재를 적용했으나 시공과정에서 메탈계열 페인트 도장으로 변경되었다.